사랑으로 섬기는 시온여성병원
요실금은 자신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소변이 나오는 것으로 이러한 요 누출이 일상 생활에 지장을 주거나 혹은 위생적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입니다. 객관적인 증명이 될 때를 말한다.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기 때문에 일상 생활의 불편함은 물론 성생활의 만족도도 급격히 감소되어 부부 생활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중년 여성들에게는 자신감 상실과 의욕저하 및 대인 기피증을 낳고, 노인에게는 당혹감이나 수치심과 같은 정서적인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요실금에 대한 걱정 때문에 활동량이 감소하게 되고 다른 사람들과 어울리는 것을 두려워하게 되어 사회로부터 고립되게 된다.
주원인은 태아의 머리가 골반을 통과할 때 질과 항문 주변의 근육이 늘어지는 현상 때문입니다.
여성의 경우에는 배뇨 시 골반 근육의 역할이 중요한데 골반 근육이란 방광, 요도 및 자궁을 밑에서 받쳐주고 질을 감싸고 있는 근육을 말합니다.
이 근육이 자연 분만 후 약해지면 방광이 예민해지고 요도 기능이 떨어져 요실금이 발생하게 됩니다.
또한 요실금은 요로계의 장애의 일환으로 발생하게 됩니다.
방광의 소변저장 및 배출과정에서 요도의 개폐를 조절하는, 소위 문지기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 요도 괄약근인데, 이부위 이상이 요실금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또 방광이 예민해져서 소변 저장능력이 떨어져 소변이 조금만 차도 참지 못하여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01. 복압성요실금
운동하거나 움직일때 요실금이 발생하는 상태를 말하며, 연령의 증가, 임신, 출산, 폐경 만성기침 및 심한운동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환자는 85%는 방광과 요도를 지지하는 골반근육이 약해져서 발생하고 요도괄약근이 약해져서 발생하기도 합니다.
기침, 재채기, 또는 웃을 때 요실금이 발생 합니다.
의자에서 일어나거나 침대에서 일어날 때 요실금이 있습니다.
걷거나 기타 운동을 할 때 요실금이 있습니다.
02. 절박성 요실금
소변이 마려우면 참기 어렵고 화장실에 도착하기 전에 요실금이 생기는 상태를 말하며, 원인으로는 감염, 종양, 신성인성방광, 결석, 이물질, 방광출구폐색과, 뇌졸중, 다발성경화증, 알츠하이머병 등과 같은 신경병들이 있으며 특이한 원인이 없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소변을 보려고 화장실에 가기 전에 이미 속옷을 적십니다.
밤에도 소변이 마려워서 자주 일어나야 합니다.
2시간을 견디지 못하고 화장실에 가야 합니다.
소변이 자주 마려울까봐 음료수 마시기를 꺼립니다.
잠 자다가 이부자리에 소변을 적십니다.
03. 혼합성 요실금
절박요실금과 복압성 요실금이 혼재하는 상태, 고령여성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04. 일류성요실금
방광의 소변 배출 기능이 떨어져 방광에 계속해서 소변이 축척되고 방광내에 소변이 많이 차게 되면 요도를 통하여 자기도 모르게 소변이 넘쳐흘러 요실금이 발생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요도의 협착, 종양, 전립성비대증 등에 의한 방광출구폐색, 방광수축력을 떨어뜨리거나 요도를 조여주는 약제복용, 심한변비, 당뇨병, 성신경병등과 같은 신경장애, 척수손상, 다발성경화증 등에서 볼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은 증상이 있다면 요실금이나 과민성 방광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01. 기침, 재채기 할 때 소변을 흘립니다.
02. 운동할 때 소변을 흘립니다.
03. 앉았다 일어날 때, 누웠다 일어날때와 같이 몸의 자세를 바꿀 때 소변을 흘립니다.
04. 소변이 마렵기 시작하면 참을 수 없을 정도로 심하게 마렵습니다.
05. 소변을 보아도 시원치 않습니다.
신체검사, 요검사, 요배양검사, 잔뇨검사(초음파), 복부촬영등이 가장 기본적인 검사입니다. 그 외에도 경우에 따라서는 요속검사, 요세포검사, 요역학검사, 요도 및 방광경검사, 방광요도조영술, 초음파검사 또는 경정맥요로조영술을 시행합니다.
01. 병력검사
소변이 갑자기 마려우면서 참기가 힘들어 화장실에 도달하기 전에 나타나는지, 소변은 자주 마렵지 않은데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때 나타나는지 체크 합니다.
예를 들어 찻숟가락 정도만의 양만 새는지, 다리로 흘러 내릴 정도로 새는지, 걸을때 참을 수 없이 새는지를 확인 합니다.
02. 배뇨일지
24시간동안 소변을 본 횟수와 배뇨량. 요실금이 있었으면 그 횟수와 양을 1시간 간격으로 구분된 시간표를 이용하여 환자 스스로 체크하도록 합니다.
03. 소변검사
방광염이 있는지 소변검사로 확인 합니다.
04. 잔뇨량 측정
소변을 보고 방광 안에 남아있는 소변의 양을 체크 합니다.
05. 초음파검사
방광내부와 요도 전립선을 관찰하여 이상소견을 확인 합니다.
06. 요역동학검사
이 검사는 일반적인 간단한 방법으로 요실금의 구분이 잘 되지 않을때 정확하게 감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나이가 60세 이상이거나 과거 요실금 교정수술에 실패한 경우, 과거 골반수술을 한 경우, 신경학적 검사에 이상이 있는 경우등 방광기능이 이상이 있는 경우 실시 합니다.
복압성 요실금의 치료는 약물이나 골반근육운동(케겔운동), 전기자극을 이용한 바이오피드백 치료, 자기장치료와 같은 보존적 치료와 수술 치료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복압성 요실금의 가장 효과적인 치료를 수술입니다. 하지만 요실금이 심하지 않은 경우, 출산 후 요실금, 비교적 젊은 여성에서는 보존적 치료도 효과적입니다.
01. 환자 스스로 할 수 있는 치료
골반 근육 운동
방광 훈련
체중 감량
음식물 제한
02. 약물 치료
방광의 예민도를 떨어뜨려 주는 약제
일종의 방광 안정제
방광의 수축력을 증가 시켜주는 약제
요도를 조여 주는 약제
03. 비 약물 치료
행동치료 : 시간제 배뇨, 환기 배뇨, 음료수 섭취조절, 변비예방, 자극성 음식 피하기
물리치료 : 자가 골반근육 운동 ? 골반근육 운동하는 법 배우기
보조기구를 이용한 골반근육 훈련 : 바이오피드백, 더블콘 사용
전기자극 치료
04. 수술적 치료
현재 이용되고 있는 테이프 수술은 방식에 따라 ‘TOT’와 ‘TVT’로 나뉩니다. 그러나 테이프의 위치에 따른 구분일 뿐 큰 차이는 없습니다. TOT 수술은 국소마취로 이루어질 정도로 큰 통증이 없고, 수술시간도 약 30분 정도로 짧기 때문에 당일 수술이 가능합니다.
* 최신 프랑스식 요실금 수술법 TOT
특수재질로 되어있어서 인체 내에서 조직과 쉽게 결합하며 전혀 이물감이나 부작용이 없고, 신축성이 있어 저절로 요도압박 정도를 조절하여 배뇨가 쉽게 조절됩니다.
3개월 이내에는 테이프를 자유자재로 조정할 수 있는 장점도 있습니다.
3개월이 지나면 인체조직과 자연스럽게 결합하여 지속적인 요실금 억제작용을 하게 됩니다.
05. 요실금수술의 장점
15분수술
1일 입원
무통 수술
영구적인 효과
합병증이 거의 없습니다.
질 축소 수술과 동시에 시행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