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으로 섬기는 시온여성병원
토하는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도움이 되는 방법들
01. 세운 자세에서 수유한다.
02. 조용한 장소에서 수유하고 너무 배고프지 않은 상태에서 수유한다.
03. 젖병이용 시에는 젖꼭지의 크기가 적당한지 확인한다.
04. 수유 후에 트림을 시켜준다.
05. 수유 후에는 과도하게 몸을 움직이게 하지 않는다.
06. 매번 게워 낸다면 수유 양을 줄이거나 수유시간을 줄이는 것이 도움이 된다.
07. 자는 도중 게워내면 머리를 약간 올리는 것이 좋다.
01. 가습기를 사용해서 습도를 높여준다.
02. 생리식염수를 코에 떨어뜨려 주어서 건조하지 않게 해준다.
03. 코 흡입기 등으로 이물질을 부드럽게 제거해준다
진단 : 단단하고 물기 없는 변
수유상태와 나이를 고려할 때 배변 횟수나 양이 현저하게 적으면 변비로 진단한다.
모유 수유아에서 10일간의 배변 지연은 정상범위로 간주할 수 있다.
이럴 땐 병원에 가야 합니다.
01. 두피의 상처가 벌어진 정도가 심하고 봉합을 필요로 할 때
02. 구토가 3회 이상 있을 때
03. 잠이 든 아이를 깨우기 힘들고 호흡이 불규칙 할 때
04. 걸음걸이나 말투가 이상 할 때
05. 지속적으로 울고 달랠 수 없을 정도로 심하게 보챌 때
06. 코나 귀로 피나 맑은 액체가 흘러 나올 때
07. 경기를 할 때
신생아 딸꾹질, 미숙한 신경계가 주 원인
01. 딸꾹질 : 횡경막의 불수의적 운동에 의해 성문이 갑자기 닫히면서 특징적인 소리가 들리는 것
02. 횡격막에 자극을 주는 가장 큰 원인은 온도의 변화
03. 과식으로 인한 위의 팽창, 위식도 역류
04. 공기를 잘못 삼켜서 횡격막이나 위장 등이 자극될 때
가정에서 할 수 있는 응급 처치
01. 몸과 주변을 따뜻하게 해준다
02. 더운 물을 먹인다
03. 손가락을 양쪽 귀에 넣는다
04. 목젖 부위를 자극한다
05. 깜짝 놀라게 한다
06. 설탕을 먹인다
07. 숨을 오래 참게 한다
엄마와 아기가 건강하다면 생후 2주경부터 비행기 탑승은 가능합니다.
발열 첫날에는 귀 체온계로 38’C 기준
생후 100일 이전
– 예방 접종
– 환경온도가 높은 경우
– 탈수; 수유 불충분
이상 세가지 경우가 아니거나 아이가 힘들어하면 응급실로 직행!
생후 100일 이후
=> 해열제 복용이 우선
아이가 편안히 자거나 잘 놀고 웃을 경우 아침까지 경과 관찰할 수가 있습니다.
스케쥴을 따라잡기 위해 신속시 접종수첩을 들고 소아청소년과 외래를 방문합니다.
기저귀 발진의 원인
01. 너무 습한 환경
02. 피부 마찰
03. 소변, 대변에 오랜 시간 접촉
04. 곰팡이 감염
05. 세균 감염
06. 기저귀 성분에 대한 알러지
기저귀 발진이 잘 생기는 조건
01. 영아가 좀 큰 경우, 특히 8~10개월 사이
02. 아이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 못하는 경우
03. 변을 자주 보는 아이
04. 이유식을 시작했을 때
05. 아이나 모유수유 중인 엄마가 항생제를 복용할 경우 (곰팡이 감염이 잘 생긴다.)
기저귀 발진을 예방하려면?
01. 젖은 기저귀는 빨리 갈아준다.
02. 기저귀 닿는 부분을 물로 부드럽게 씻어준다.
03. 비누는 대변이 잘 안떨어 질 때에만 사용한다.
04. 문지르지 말고, 토닥거리면서 말린다. 기저귀를 채우기 전에 공기 중에서 완전히 말린다.
05. 두꺼운 크림이나 기저귀 발진 크림으로 피부를 코팅해준다. 다음번 기저귀를 갈 때 크림을 깨끗히 씻기려고 하다보면 오히려 피부가 상할 수 있음에 주의한다.
06. 베이비 파우더는 흡인될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다.
07. 알코올이나 향수는 아기 피부에 자극이 될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다.
08. 기저귀를 느슨하게 채운다.
기저귀 발진이 생겼을 때는?
01. 점점 더 악화되거나, 2~3일 사이에 좋아지지 않거나, 물집이 잡히거나 농이 생겼을 때에는 소아청소년과 진료를 받는다.
02. 스테로이드 외용제는 반드시 소아청소년과 의사가 권할 때에만 사용한다.
어린 아이들은 주위온도에 민감하기 때문에 옷을 많이 입고 이불을 덥고, 주위 온도가 높게 되면 땀이 발산될 곳이 머리밖에 없기 때문에 베개를 흠뻑 적시는 일이 흔하게 나타난다.
일부 어른처럼 다한증 과 같은 질환이 나타나는 것은 아주 드문 일이다.
신생아 귀지 관리법
01. 일반적으로는 자연스럽게 밖으로 떨어져 나옵니다.
02. 아기의 얼굴을 옆으로 돌리고 뺨을 눌러 귓구멍이 보이는지 확인한 후 부드러운 면봉으로 입구만 닦아냅니다.
03. 귀 청소 후 물기가 남아있거나 크게 지저분하지 않은 이상 귓 속은 닦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신생아 수유
01. 하루에 8-12번 이상
02. 한 번에 한 쪽 당 15분 이상 충분히
03. 한번 수유 시 양쪽 젖을 먹이고
04. 4시간 이상 자면 깨워서 수유
05. 소변 기저귀 횟수
06. 빠는 힘, 우는 힘
신생아 체중증가
01. 매주 200gm이상 체중 증가
02. 출생 직후 3~4일간 체중 소실
03. 출생 후 10일경 출생시 체중 회복